![]() |
(시사코리아-남재균 기자) 최대 100만 원을 긴급 대출해주는 소액 생계비대출이 시작된 가운데 30~50대 신청자가 8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서민금융진흥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2~24일 진행된 소액 생계비대출 사전예약 접수는 총 2만5,399건이었다.
연령대 별로 보면, 40대가 5,379건으로 31.1%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어 30대가 4,313건으로 25%, 50대도 3,792건으로 22%의 비중을 차지했다.
경제활동의 중심축인 30~50대가 소액 생계비대출 신청자의 80%에 육박하는 것이다.
이 가운데 남성은 59.7%(1만303건), 여성은 40.3%(6,966건)로 집계됐다.
소액 생계비대출이란 급전이 필요한 취약계층에 최대 100만 원까지 대출해주는 제도다. 소액의 자금을 구하지 못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리는 저소득·저신용 차주들을 보호하기 위한 취지다.
첫 대출 시 금리가 연 15.9%에 달해 고금리 논란이 있었다. 하지만 생활비나 주거비가 급한 저소득층의 신청이 몰리고 있다.
최 의원은 “대한민국의 경제활동 주축을 담당하는 30~50대가 100만 원의 소액을 15.9% 의 고금리에 생계를 위한 대출로 이용해야 할 만큼 위기에 몰린 상황”이라고 안타까워 하며 “소액 생계비 대출 확대와 추가 금리인하를 포함해 불법 사금융으로까지 내몰리는 경제활동 인구의 재기를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저신용자 대상 대출이 급감하는 등 서민들의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리는 이들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소액 생계비대출이 가뭄의 단비처럼 작용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남재균 기자(news3866@naver.com)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