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국토 면적, ‘11.7㎢’ 증가

남재균 기자 | 기사입력 2023/03/30 [11:17]

국토 면적, ‘11.7㎢’ 증가

남재균 기자 | 입력 : 2023/03/30 [11:17]

  © 관련 자료



(시사코리아-남재균 기자) 국토교통부는 국토정책 수립과 행정업무 활용에 기초가 되는2023년 지적통계(‘22. 12. 31. 기준)를 3월 30일 공표했다.

 

 ‘지적통계’는 지적공부(토지‧임야대장)에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행정구역(시·도, 시·군·구)별, 지목(토지의 종류)별, 소유(개인, 국·공유지 등)별로 필지와 면적을 집계하여 매년 공표하는 국가승인통계로 지난 1970년부터 연보로 발간해오고 있다.

 

 2023년 지적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토지·임야대장에 등록된 국토 면적은 100,443.6㎢(39,514천 필지)로 전년 대비 11.7㎢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약 4배에 달하는 규모로 국토부 미등록토지 정비사업, 공유수면매립, 항만 건설 등 각종 개발사업에 따른 신규등록이 발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면적이 큰 순서는 경북 19,036㎢(19.0%), 강원 16,830㎢(16.8%), 전남 12,361㎢(12.3%)로 나타났다. 작은 순서는 세종 464.9㎢(0.5%), 광주 501.0㎢(0.5%), 대전 539.7㎢(0.5%)로 조사되었다.

 

 지난 10년 간 산림·농경지(임야·전·답·과수원)는 1,782㎢ 감소(-2%)한 반면, 생활기반 시설(대·공장용지·학교용지·주유소용지·창고용지)은 872㎢ 증가(22%)했고, 교통기반 시설(주차장·도로·철도용지)은 515㎢ 증가(17%)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국토교통부 지적통계는 전 국토의 면적과 이용현황 등의 변화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에 각종 정책결정, 학술 연구 등에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작성하여 정부, 공공기관, 도서관, 학교 등에 배포하고, 전자파일 형태(PDF)의 전문도 함께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남재균 기자(news3866@naver.com)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