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사코리아-남재균 기자) 정부가 물가 안정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정책을 펼치기로 했다.
지난달 물가 오름세가 이어지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8%로 석 달째 3%대를 기록했다.
특히, 중동지역 불안 등에 따른 국제유가 변동성과 이상저온에 따른 농산물 가격 불안 요소가 물가 상승을 이끌었다.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한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상승 요인에 공감하고, "최근 국내물가는 당초 예상보다 하락 속도가 더 완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는 모든 부처가 물가 안정을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는 범부처 특별물가안정체계를 가동한다.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각 부처 차관이 물가안정책임관이 되어 소관품목 물가 안정은 스스로 책임진다는 각오로 철저히 살피는 한편, 수급관리·제도개선 등 관계기관 간 공조가 필요한 사항은 물가관계장관회의·차관회의 등을 통해 즉각 대응하는 등 전 부처가 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는 신속한 물가 대응을 위해 현장 대응도 강화한다.
추 부총리는 "각 부처가 수시로 현장에 나가 상황을 파악하고,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체감도 높은 물가·민생 안정 대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회의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동결 상황도 점검했다.
추 부총리는 "시장 예상을 벗어나지 않은 것"이라며 "글로벌 금융시장도 대체로 안정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분야별 취약부문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필요한 경우 관계기관과 공조해 신속 대응할 방침이다.
또한, 1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된 10월 수출과 관련해서는 "특정 지역·품목에 편중되지 않고 전반적으로 개선되며 수출 회복 흐름이 확고해지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추 부총리는 최근 반도체 업황 호전 등을 고려하면, 회복 흐름은 10월 이후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남재균 기자(news3866@naver.com)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