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감염병, '100만 명'도 대응?

김병수 기자 | 기사입력 2023/05/05 [14:32]

감염병, '100만 명'도 대응?

김병수 기자 | 입력 : 2023/05/05 [14:32]

  © 관련 사진



(시사코리아-김병수 기자) 정부가 지난 3년 간 코로나19 유행 대응 경험을 토대로 감염병 대비 중장기 계획을 세우고 있다.

 

 새로운 감염병이 등장하는 주기가 갈수록 짧아지고 있다. 실제 지난 2003년 사스 유행이 끝나고 신종플루가 등장하기까지는 6년이 걸렸다. 하지만 2015년 메르스 유행 종식 후, 새로운 감염병인 코로나19가 유행하기까지 4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감염병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다.

 

 국내 사망자 수를 보면, 사스 유행 당시 한 명도 없었고, 신종플루 260명, 메르스 38명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유행 때는 3만 3천여 명이 숨졌다.

 

 긴장을 늦출 새 없이 다음 팬데믹을 준비해야 하는 이유다.

 

 이에 이번 공청회에서는 새로운 감염병을 미리 인지해 신속히 알릴 수 있는 통합감시체계 구축 방안이 제시됐다.

 

 세계보건기구(WHO) 웹기반 감염병 사건감시시스템(EIOS)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국외유행 상황을 주시한다.

 

 국내에서도 감염병 발생 상황을 신속히 알 수 있도록 감시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건강보험 정보와 인구 이동량, 하수 감시 등 다양한 데이터를 종합 분석할 수 있는 감염병 종합지능 플랫폼도 도입할 예정이다.

 

 질병관리청 감염병위기대응국 관계자는 “신·변종 감염병 유행에 대해서 위험평가를 고도화하고 조기경보가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새로운 감염병 발생 30일 안에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한다. 증상기반 다중검사분석법 등 미지의 감염병 진단이 가능한 핵심기술을 확보한 가운데, 병원체 유전자 통합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할 계획이다.

 

 의료체계는 다음 대유행 때 하루 확진자 100만 명이 발생해도 대응 가능한 수준으로 인프라를 확충할 방침이다.

 

 이렇게 논의된 중장기 계획안은 전문가 의견 반영과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확정된다. 최종안은 이달 중 국민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김병수 기자(22kbs@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