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사코리아-남재균 기자) 주요 7개국(G7)이 동맹국과 함께 러시아에 대한 수출을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우크라이나 침공을 이어가고 있는 러시아에 경제적 압박 강도를 높이려는 취지다.
20일(현지 시간) 블룸버그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G7 관계자들이 내달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를 앞두고 전면적인 대러 금수 조치를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21일 교도통신 역시, 일본 정부 관계자의 말을 빌려 “G7이 대러 제재 강화의 일환으로 거의 모든 품목의 수출금지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조치의 핵심은 일부만 예외를 두고 다른 모든 품목의 수출을 금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동안 특정국가에 대한 제재는, 제재 대상 리스트에 오른 품목 외에 다른 품목은 기본적으로 수출이 허용되는 방식이었다.
한 소식통은 “G7 정상들이 내달 회담에서 이 조치를 지지한다면, 예외 품목을 합의해야 할 것”이라며 “의약품과 농·식품 등은 예외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귀띔했다.
다만, 이 제안은 여전히 예비 단계에서 논의 중이다.
G7은 수출 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을 합류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EU 내에서 새로운 대러 수출 통제가 발효되려면, 모든 회원국이 승인해야 한다.
EU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핵심 반도체와 첨단기술 제품을 비롯한 수백 개 제품의 대러 수출을 제한하고, 1천500명에 가까운 개인을 제재하는 등 강력한 조처를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러시아는 EU산 첨단 제품을 튀르키예, 세르비아, 아랍에미리트(UAE)와 동유럽·중앙아시아 일부 국가를 경유해 우회 수입을 하는 수법으로 부족분을 메우고 있다고 알려졌다.
남재균 기자(news3866@naver.com)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