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사코리아-김병수 기자) 지난해 2차 발사를 성공적으로 마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이르면 5월 중순 3차 발사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우주 개발 진흥 실무위원회를 열고 올해 우주개발 정책을 심의, 확정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항우연에서 2월 초에 발사 허가 신청서를 냈고, 이번에 심의가 끝나면 과기부 장관 명의의 발사허가증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누리호 발사 때 위성 모사체를 실었던 것과 달리 이번 3차 발사 땐 실제 위성 8기를 탑재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날짜는 기상 상황 등을 고려해 발사일 한 달 전인 다음 달 중 최종 확정된다.
이번 회의에서는 차세대 발사체 개발계획도 안건에 올랐다.
소형 위성 발사에 활용되는 누리호와 달리 2톤 이상의 대형 위성 발사가 가능한 차세대 발사체를 항공우주연구원과 민간 기업이 공동으로 연구, 개발하는 내용이다.
오는 2030년 1차 발사를 시작으로 2032년엔 달 착륙선 탑재가 가능하도록 목표를 세웠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민간 기업과의 공동개발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민간 기업이 우주 발사체를 개발해 직접 발사도 할 수 있도록 허가 절차를 마련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현재는 항공우주연구원만이 발사 허가를 받을 수 있는데, 앞으론 미사일 등 무기를 제외한 우주발사체는 민간에서도 발사 허가를 받을 수 있도록 바뀔 전망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올해가 우리나라의 우주경제 강국 도약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관련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김병수 기자(22kbs@hanmail.net)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