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2022 한국 사회지표' 발표

김병수 기자 | 기사입력 2023/03/24 [11:11]

'2022 한국 사회지표' 발표

김병수 기자 | 입력 : 2023/03/24 [11:11]

  © 운영자



(시사코리아-김병수 기자) 우리나라 사회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2022 한국의 사회지표'가 나왔다.

 

 통계청이 발간한 2022년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는 5천163만 명으로 2020년 정점을 찍은 이후 감소하고 있다.

 

 합계 출산율, 그러니까 여성 1명이 평생 동안 낳을 수 있는 평균 자녀수는 0.78명으로 나타나 전년도 보다 0.03명 감소했다.

 

 이는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이다.

 

 중위 연령은 45세인데, 특히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17.5%를 차지하고 있어 전형적인 저출산 고령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가구 변화와도 연관이 있다.

 

 이와 관련해 이번 자료에서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국민이 전체의 절반으로 나타났다.

 

 2021년 가구 당 평균 가구원 수는 2.3명으로 2000년과 비교해 1인 가구와 2인 가구의 비중은 늘었고, 3인 이상 가구의 비중은 줄어들었다.

 

 특히 국민 중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50%로 2년 전보다 1.2%p 감소했다.

또 이유가 있으면 이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18.7%로 2년 전보다 1.9%p 증가했다.

 

 기대수명은 83.6년으로 전년도보다 0.1년, 10년 전보다는 3년 증가했다.

 

 사망원인은 악성신생물, 즉 암이 1순위이다. 다음으로 심장질환과 폐렴, 뇌혈관질환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의 흡연율은 18.2%로 전년보다 1%p 감소했으며, 음주율은 53.5%로 전년보다 1.7%p 감소했다.

 

 고용률은 62.1%로 전년도보다 1.6%p 올랐고, 실업률은 2.9%로 0.8%p 하락했다.

 

 2022년 가구 당 평균 순자산액은 4억5천602만 원으로 전년보다 10.0% 증가했고,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 2천661달러로 전년보다 7.7% 감소했다.

 

 또 2021년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PIR)은 6.7배로 전년도보다 1.2배 증가했는데, 이는 6.7년 동안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두 모아야 집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의미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2명이 외로움을 느낀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남성보다 여성이,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사회적 고립감을 더 느끼고 있었다.

 

김병수 기자(22kbs@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