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문체부, ‘지역문화정책 추진전략’ 발표

남재균 기자 | 기사입력 2023/03/23 [12:05]

문체부, ‘지역문화정책 추진전략’ 발표

남재균 기자 | 입력 : 2023/03/23 [12:05]

  © 운영자



(시사코리아-남재균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23일, 지방의 문화영유권을 확대하고 지역경제에도 도움이 되는 ‘지방시대 지역문화정책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실행한다.

 

 정부의 3대 추진전략은 △대한민국 어디서나 자유롭고 공정한 문화 누림, △지역 고유의 문화매력 발굴·확산, △문화를 통한 지역자립 및 발전이다.

 

 지난해 발표된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국민여가활동조사에 따르면, 대도시의 문화예술관람률은 60.7%로 읍·면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여가생활만족도도 약 10%포인트 가량 차이가 났다.

 

 이에 문체부는 주요 문화시설을 지방으로 이전하여 지방 사람도 다양한 공연, 전시 등을 향유할 수 있도록 순회공연과 전시 등을 진행한다.

 

 국립예술단체와 박물관의 지역 순회공연 및 전시를 확대한다. 국립오페라단·발레단·합창단 등의 지역 순회공연은 지난해 81개 지역에서 올해 101개 지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지역관과 국립중앙도서관 국가문헌보존관 등 주요 국립문화시설 5곳을 2027년까지 비수도권에 신규 및 이전 건립한다.

 

 현재 서울에 있는 국립민속박물관의 세종시 이전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역 고유문화를 바탕으로 한 ‘문화도시’ 등 지역 지원사업과 연계해 지역서점, 카페, 공방 같은 일상공간에서 문화를 누릴 수 있는 ‘문화슬세권(슬리퍼+역세권)’을 조성할 방침이다.

 

 특히 올해부터 인구 감소지역은 문화·관광 분야 4개 공모사업에서 가점 부여 등 우대를 받고, 박물관·미술관 운영에 있어 법정기준을 완화하는 등 정책특례를 받는다.

 

 문화환경이 취약한 지역엔 문화인프라·프로그램·인력 등을 맞춤 지원하는 ‘지역문화 활력촉진 지원사업’을 전개한다. 이와 함께 관계부처와 협업하는 ‘지역활력타운’을 신규 추진(올해 7개 지역)한다.

 

 지역활력타운은 주거·생활인프라·생활서비스가 복합된 생활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문체부는 선정된 지자체에 국민체육센터 건립과 문화 프로그램 운영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각 지역 고유의 문화매력을 발굴하고 알리는 노력도 이어간다. 지역별 문화자원을 활용한 특화콘텐츠 개발을 지원하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유·무형 문화자원인 ‘지역문화매력 100선’을 선정해 국내외에 알릴 방침이다.

 

남재균 기자(news3866@naver.com)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