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사코리아-남재균 기자) 정부가 전 국민이 참여하는 에너지 절약 방안을 3월 중 발표한다.
기획재정부 방기선 1차관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차관회의를 열고 “가정, 학교, 회사 등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과제를 포함한 에너지 효율 혁신 및 절약 강화 방안을 이달 중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동안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추진해온 동절기 에너지 절약 노력을 연중 상시화하고 전 국민이 동참하는 강력한 절약 운동으로 확산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는 90% 이상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면서도 소비량은 세계 10위로, 물가안정과 무역수지 적자 완화 등을 위해서는 국민 모두가 힘을 합쳐 에너지 소비를 절감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지난 1월 경상수지가 45억 달러 적자를 기록한 것과 관련해서는 “1월 무역수지가 126억 5,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한 게 큰 영향을 미친 가운데 해외여행 증가 등에 따른 서비스 수지 악화도 일조했다”고 평가했다.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경상수지는 45억 2,000만 달러(약 5조 9,664억 원) 적자로 집계됐다.
방 차관은 “그나마 2월 무역 적자(-53억 달러)가 상당 폭 축소된 만큼, 경상수지가 어느 정도 개선될 것으로 보이면서 연간 200억 달러 대 경상수지 흑자가 전망된다”며 “경상수지가 안정적인 흑자기조를 지속할 수 있도록 모두 부처가 원 팀이 돼 총력 대응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어 수출기업의 해외 수주 지원에 대해서는 “그간 기재부 원 스톱 수출·수주지원단을 통해 총 353건의 수출 현장 애로를 접수했고, 이 중 304개를 해소, 종결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공급망 리스크 대응을 위해 직접 관리하는 경제안보 핵심품목은 재정비를 추진한다.
방 차관은 “공급망 리스크가 낮아진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 리스크가 우려되는 품목을 추가하는 등 개편 작업을 추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바이오·전기차 등 신산업과 반도체·방위산업을 비롯한 핵심 산업의 필수 소재 및 부품을 선제적으로 핵심 품목에 반영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핵심 품목 전 단계에 활용되는 원료·소재를 핵심 품목에 추가해 관리하고, 국민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품목들도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
개편안은 차기 대외경제장관회의를 통해 확정할 예정이다.
남재균 기자(news3866@naver.com)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