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사코리아-남재균 기자) 오픈AI의 대화형 서비스 ‘챗GPT’의 파급력이 대단하다.
이에 정부는 이달 중 초거대 인공지능(AI) 산업 정책방향을 발표한다. 최근 전 세계 최대 화두로 떠오른 ‘챗GPT’가 몰고 온 변화에 정부가 적극 대응하겠다는 얘기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은 8일,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아지트에서 ‘제3회 AI 전략대회’를 직접 주재하며 AI 산업계의 의견을 청취했다.
이 장관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챗GPT 같은 초거대AI 서비스를 내놓고,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민관의 역량을 총 결집해서 국가적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초거대AI는 그동안 정부가 추진해온 데이터 구축 및 개방, 컴퓨팅 인프라 고도화, 연구개발(R&D)지원, AI윤리 및 신뢰성 확보 등 정책들과 밀접하게 연관돼있다”며 “이는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이 됐고, 이 위에서 국내 기업들도 초거대AI 개발 및 활용을 적극 시작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부 관련 부처도 초거대AI 산업 정책방향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등을 통해 초거대 AI 산업발전을 위한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는 한편, 데이터 수집·이용 등 전 과정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요인을 최소화해 신뢰기반 AI 데이터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관련 국내 산업계는 글로벌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보이는 한편, 정부에 지원 사업 확대를 요구했다.
국내 대표적인 기업인 네이버는 네이버클라우드로, 카카오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브레인으로 기술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는 이날 전략회의에서 “현재 AI 개발을 한국어 중심으로 하고 있지만 앞으로 기술 격차는 더 줄어들 것”이라며 “보다 과감하고 일상생활에 실제 도움이 되는 혁신적 서비스를 누가 만들어내는지가 중요한 단계”라고 강조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백상엽 대표도 “국내 기업들도 초거대 AI를 잘 만들어 왔지만 챗GPT와 같은 응용 가능한 수준의 완성도를 가지고 오픈 못 했다는 것을 후회한다”며 “앞으로 다시는 이런 경쟁에서 뒤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쫓아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남재균 기자(news3866@naver.com)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