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사코리아-남재균 기자) 중국이 미국의 대중 정책을 강도 높은 높게 비판하며 갈등을 고조시켰다.
미국은 양국 관계에 변화가 없다고 표명했다. 하지만 미 의회에서 중국 SNS 틱톡 등 해외 IT업체의 기술을 제한하는 법안이 발의되는 등 갈등이 지속될 전망이다.
미국 백악관 존 커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7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미국의 대중국 정책에 대해 “우리는 중국과 전략적 경쟁을 추구하지, 갈등은 추구하지 않는다”면서 “우리는 중국과 경쟁에서 승리를 목표로 한다. 하지만 우리의 중국 정책에는 어떤 변화도 없다”고 밝혔다.
중국이 연이어 미국을 겨냥해 비난을 쏟아낸 데 따른 반응이다.
전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미국이 주도하는 서방 국가들이 우리를 모든 부문에서 억제하고 압박해 우리의 발전이 전에 없이 큰 어려움에 부닥쳤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중국 외교부 친강 부장도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만약 미국이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잘못된 길을 따라 폭주하면 탈선과 전복을 막을 수 없다"며 "양국 관계가 충돌로 빠져든다면 그 재앙적인 결과를 누가 책임질 것인가"라고 말했다.
친 부장은 또 “미국이 말하는 경쟁은 사실상 전방위적 억제와 탄압이며, ‘네가 죽어야 내가 산다’는 제로섬 게임”이라는 등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미국 정부는 중국에 대한 압박이 '경쟁' 차원의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미 국무부 네드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날 "중국을 포위하거나 억압하는 게 아니라 국제 질서를 수호하기 위한 것"이라며 "양국의 건설적인 경쟁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어 "투자·제휴·경쟁이란 중국에 대한 접근법은 똑같이 유지되고 있다. 다만, 경쟁이 충돌로 비화하지 않기 위해 가드레일이 있는 관계를 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대만 문제에 대해서는 한 발 물러섰다. 커비 조정관은 "미국은 대만의 독립을 지지하지 않으며, 일방적인 상태 변화도 바라지 않는다"고 했다.
이전처럼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되, 중국이 대만을 일방적으로 점령하지 말라는 경고로 풀이된다. 친강 부장은 대만 문제를 두고 "절대 넘지 말아야 할 제1의 금지선"이라는 비판한 바 있다.
친 부장은 “대만은 중국의 신성한 영토의 일부분이며 통일조국 대업 완성은 신성한 책임”이라며 헌법조문을 읽어 내려가는 모습을 연출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대만에 대한 군사지원은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은 지역 안보 수호를 위함이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대항을 유발하는 ‘아시아·태평양판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라고 덧붙였다.
남재균 기자(news3866@naver.com)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