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사코리아-남재균 기자)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6일 “부문별로 불안 요인이 남아있지만, 특별한 외부 충격이 없다면 향후 물가는 둔화 흐름이 더욱 뚜렷해 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추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2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4.8% 기록하면서, 전년 4월(4.8%)이후 10개월 만에 4%대에 진입하는 등 잠시 주춤하던 물가 둔화 흐름이 재개되는 모습”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기재부에 따르면, 석유류가 국제 유가 안정으로 2021년 2월 이후 처음으로 전년 대비 하락 전환돼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지난 1월 한파 등으로 채소류 가격 등이 다소 불안했던 농축수산물은 축산물 가격 하락에 힘입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 서비스와 집세 역시 지난 하반기부터 오름폭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모습이다.
추 부총리는 “다만 여전히 물가 수준이 높아 민생 부담이 큰 만큼, 정부는 물가 둔화세가 가속화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를 위해 공공요금은 상반기 동결 기조 하에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식품 원재료 관세 인하 등의 노력을 다할 방침이다.
추 부총리는 “관련 업계도 생산성 향상 등 원가 절감을 통해 인상 요인을 최대한 흡수해달라”고 요청했다.
남재균 기자(news3866@naver.com)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