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사코리아-남재균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은 22일, 80여 개국이 참여한 가운데 우리나라 주도로 넷 제로(Net Zero) 에너지* 이행 가이드 국제표준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 소비되는 에너지와 생산되는 신재생에너지가 일치하여 ‘에너지 량이 0’ 되는 상태
세계 및 우리나라 탄소배출에서 에너지는 각각 73%, 8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에너지 부문의 넷 제로화는 핵심사항이다.
* 세계(World Resource Institute, ‘20년 기준), 우리나라(국가 온실가스 배출 통계, ‘21년 기준)
이 표준은 현재 탄소중립, 온실가스 감축량 원격검침 등 산업환경 분야 국제표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제정된 것으로, 향후 기업들이 탄소중립을 이행하기 위한 넷 제로 에너지 가이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제정표준에서는 공장, 건물 등 기업활동에 대한 넷 제로 에너지의 범위 및 기준연도, 에너지 효율 관리, 신재생에너지 적용 등의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기업의 생애주기인 사업장 설계-시공-운영-폐기 중에서 운영이 전체 에너지 소비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기업의 운영관리를 중심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과 넷 제로 에너지 실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기업이 먼저 설계단계에서 최적의 에너지 공급 및 수요계획을 수립하고, 이후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와 신재생에너지 생산대체 등으로 에너지 절감 및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포함한 넷 제로 에너지 성과지표를 제시함으로써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다.
남재균 기자 (news3866@naver.com)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