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정부, 코로나19 재유행 국면 전환…13일 방역지침 변화 예고

김혜은 기자 | 기사입력 2022/07/09 [09:58]

정부, 코로나19 재유행 국면 전환…13일 방역지침 변화 예고

김혜은 기자 | 입력 : 2022/07/09 [09:58]

 사진제공-뉴시스. 본문과 직접적 관련은 없는 사진



(
시사코리아-김혜은 기자)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재확산 국면으로 전환됐다고 선언, 대비에 나섰다. 최근 주간 기준 확진자가 두 배로 늘어나는 등 확산세가 빨라지면서 오미크론 변이 BA.5로 인한 확산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방역·의료 체계를 준비하겠다는 취지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2차관은 지난 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통해 코로나19 재유행의 경고등이 하나둘 켜지고 있다이는 코로나19가 다시 확산 국면으로 전환됐음을 의미한다. 우리 모두 경각심이 필요한 때라고 밝혔다. 사실상 정부가 코로나19 재유행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셈이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719323명으로 전일 대비 812명 늘었다. 나흘째 하루 2만 명에 달하고 있다. 주간 확진자도 널뛰기를 했다. 최근 한 주(72~7) 확진자는 하루 평균 15277명으로, 지난주(626~71) 8193명 대비 86.5% 증가했다. 이 차관은 “BA.5 변이 바이러스 확산, 여름철 이동량 증가, 실내 감염 확산, 면역 효과 감소 등이 겹쳤다고 설명했다.

 

유럽에서 속도를 높여 확산하고 있는 BA.5 변이 바이러스는 국내에서도 빠르게 퍼지고 있다. BA.5 변이는 스텔스 오미크론에 비해 전파 속도가 35% 빠르다. 국내 검출률은 지난달 둘째주(65~11) 1.4%에서 전주엔 28.2%로 높아졌다. 우세종이 될 경우 코로나 재유행이 더 앞당겨 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대응 방안 마련에 돌입했다. 오는 13일 사회적 거리두기 변경 여부 등 방역조치를 발표할 방침이다. 이 차관은 방역, 의료체계 등 재유행 대응 방안을 전문가들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정부의 코로나19 재유행 공식화는 최근 오미크론 하위 변이 등 각종 요인이 한꺼번에 터지면서다.

 

중앙사고수습본부 손영래 사회전략반장은 8일 브리핑을 통해 각종 방역 및 의료대응 조치를 어떻게 변경할지 검토하고 있다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비롯한 다양한 방역조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또 바꾼다면 어떤 식으로 변경할 수 있을지 등을 결정하겠다고 전했다.

 

이러한 재유행 위기는 변이 바이러스의 빠른 확산과 함께 국민 대다수가 백신 3차 접종 후 3~4개월이 지나 면역력이 크게 떨어진 데다 여름휴가 시즌이 오면서 이동량이 증가했고 방역 긴장감이 완화되는 등의 요인이 거론된다. 에어컨 사용에 따른, 실내 감염도 확산하는 추세다.

 

BA.5 변이는 의료계도 놀라고 있을 만큼 독특한 하위 변이다. 검출 증가 속도가 압도적이다. 예컨대 BA.1(오미크론) 변이가 9.5명에게 전파했다면 BA.518.6명에게 확산한다. 아울러 면역회피력이 높고 백신을 무력화한다. 확진이나 백신을 통해 얻은 면역력은 BA.5에 대해선 방어 효과가 사실상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확진자와 백신 접종자들이 BA.5에 대해 중화항체를 생성하는 수준은 비()변이 바이러스에 비해 21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영국보건청은 BA.5가 감염자에 대한 중화능(바이러스 감염에 대응하는 방어력)을 스텔스 오미크론(BA.2)31 수준으로 감소시켰다고 밝혔다. BA.5가 항체결합력을 3분의 1로 줄인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이는 재감염 가능성이 3배 높다는 의미다. 유행 기간이 장기화 될수록 재감염자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된다.

 

정부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4차 접종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방역당국은 이번 재유행에서 하루 확진자가 최대 15~20만 명에 달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백신접종과 의료체계 보완 외의 방역지침은 내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사적 모임 제한, 식당·카페 영업시간 제한 등 기존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는 그간 경제에 막대한 파급력을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방역지침을 참고 견딘 국민들의 피로감 역시 한계에 달한 상황이기 때문에 다시 도입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