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번달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에 종합검사 관련자료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은 종합검사 시작 한 달 전 공식 사전 통지를 한다. 양측은 이를 통해 검사와 관련한 제반 사안을 사전 조율한다. 이후 사전검사, 현장 본검사 순으로 이어진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를 통해 라임 부실펀드 제재 등에서 지적된 금융상품 선정절차, 금융상품 판매 시스템, 내부통제시스템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룰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손태승 회장과 파생결합사모펀드(DLF) 내부통제 위반과 관련한 소송을 진행 하고 있다. 1심 법원에서 손 회장이 승소했으나, 금감원은 이에 불복해 항소한 상태다.
당초 금감원은 지난해 연말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에 대한 종합검사를 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등으로 일정이 지연됐다. 금년 상반기에는 우리은행에 대한 금감원 제재심의위원회가 진행되면서 종합검사 일정이 재차 연기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의 종합검사는 금감원 전신인 은행감독원이 1962년 발족한 이후 50년 이상 시중은행 등을 관리·감독하는 방편으로 활용 돼 왔으나, 금융회사 길들이기라는 지적이 제기됨에 따라 2015년 한 차례 폐지된 바 있다. 업계에 자율과 창의를 선사하는 차원에서 시대에 뒤쳐진 군기 잡기식 검사는 지양하겠다는 취지였다. 그러다 2018년 윤 전 금감원장이 다시 부활시켰다.
금감원은 금년 대규모 종합검사 예고를 한 바 있다. 은행 2곳, 금융지주 3곳, 증권사 4곳, 보험사 4곳, 자산운용사 1곳, 여신전문금융회사 1곳, 상호금융사 1곳 등 모두 16곳이 그 대상이다. 이는 작년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속도를 올리지 못하다가 6월부터 KB금융그룹과 국민은행, 메리츠증권, 삼성화재, 농협생명 등을 대상으로 종합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정 원장은 취임 당시 ‘시장 친화적 감독’을 피력하며 “제재 일변도의 감독 관행을 끊어내겠다”고 역설했다. 금감원은 종합검사에서 잘못이 발견될 경우 이를 시정하기 위해 제제 등의 조치에 나서게 된다.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