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일 주요외신과 국내보도 등에 따르면, EU 회원국들은 지난 7일(현지시각) 일명 '무선 기기 지침' 개정안에 합의해, 충전단자를 USB-C타입으로 단일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러한 합의는 이후 유럽의회를 통해 EU 회원국들의 승인을 받으면 발효된다.
충전기 표준화 법안은 EU의 행정부 격인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가 작년 9월 제안했다. 당시 EC는 USB-C타입을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표준 방식으로 채택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법안을 의회에 제출한 바 있다. 이후 유럽의회 내부시장과 소비자보호위원회(IMCO)는 지난 4월 모바일 충전기 표준화 법안을 가결했으며, 43대 2로 압도적인 지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이번 유럽의회 전체회의에서도 법안이 통과되면서 애플의 위기론이 부상했다. 애플은 지난 2012년 론칭한 '아이폰5'에 최초로 라이트닝 포트를 적용한 이후 해당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 이러는 동안 안드로이드 등 다수의 기기들은 USB-C 타입을 채택하면서 사실상 충전 표준으로 굳어진 것이다.
해당 지침에 따르면 EU 회원국 내에서 휴대 기기를 취급하는 제조사들은 2024년까지 모든 휴대용 기기에 USB-C타입을 적용해야 한다. 주목할 것은, 스마트폰 외에도 태블릿, 디지털카메라 등 모든 정보기술(IT) 장비가 그 대상이 된다는 점이다.
유럽 의회 가결 이후 유럽 이사회 승인 과정이 아직 더 필요하지만, 이미 분위기는 기울었다는 관측이 많다. 유럽 이사회 승인은 9월 이후 이뤄질 전망으로, 유럽 이사회 합의 이후 20일이 경과하면 법이 확정된다. 이후 24개월의 유예기간을 둔 뒤 신규 규정이 적용된다. 이에 따라 오는 2024년 3분기부터 EU 지역에서 팔리는 모든 모바일 기기 충전기는 USB-C타입을 채택해야한다.
EU가 이같은 결단을 내린 것은 환경보호와 사용자 편의성 측면이 크다. 이들은 약 10년 전부터 관련 법안 도입을 추진해왔다. EU 위원회에 따르면 해마다 유럽에서 5억대 넘는 충전기가 론칭되고 있고, 전자 폐기물 규모는 최대 1만3천 톤에 달한다.
EU의 결정에 따라 인구 4억5천만명의 대형 단일 시장인 유럽이 USB-C타입 충전기를 표준으로 확정할 경우 세계적 스마트폰 시장에 거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규정은 유럽 단일 시장의 30개 국가에서 유통되는 전자 제품에만 적용되나 EU의 까다로운 개인 정보 보호 규정과 동일하게 사실상 국제표준으로 부상할 수 있다.
그간 애플은 EU의 이같은 움직임에 저항해왔다. 단순 보편화를 강제한다면 혁신이 저해되고 전자 폐기물까지 증가할 것이라는 주장을 내세워 온 것.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충전규격 강제는 혁신 저해는 물론 되려 새 충전기를 사야하는 고객이 늘어 낭비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다만, 결국 EU의 결단에 따라 애플도 마지못해 수긍하는 모양새다. 향후 시장의 판도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