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사코리아-김병수 기자) 정부가 다음 달 초 실외의 마스크 착용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거리두기 해제에 따라 대규모 축제를 제한해 왔던 지역축제 심의·승인제도는 잠정 중단된다.
전해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2차장(행정안전부 장관)은 20일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마스크 착용의 중요성이 여전히 큰 상황에서 방역상황에 대한 면밀한 평가와 전문가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5월 초에 실외 마스크 계속 착용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 거리두기 해제 후 상황을 고려해 대규모 축제 개최를 엄격히 제한했던 방침을 변경하기로 했다.
전 2차장은 “300인 이상이 참여하는 축제를 대상으로 시행해온 지역축제 심의·승인 제도 운영을 잠정 중단하겠다. 다만, 안전점검과 함께 기본방역 준수를 위한 안내·계도 위주의 방역관리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감염병 등급 하향 조정 여부 역시 내달 결정된다.
그는 “4주간의 충분한 이행단계를 거쳐 추진하되, 이행 수준 평가와 지자체·의료계와의 충분한 소통을 거쳐 5월 말 전면 전환여부를 최종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코로나19 유행 상황은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 2차장은 “최근 1주간(4월 13~19일) 평균 확진자 수는 전주(4월 6~12일) 평균 확진자 수인 19만5,000명보다 40% 감소한 11만 명대 규모”라며 “확진자 규모가 4주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감염재생산지수도 0.78로 3주 연속(3월 5째 주~4월2째 주) 1 미만을 나타내고 있어 현재의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 2차장은 “위중증 환자 수는 4월 들어 800명대까지 줄었고, 병상 가동률은 3월 4째 주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해 중증병상은 43%, 중등증 병상은 28%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각종 방역지표의 안정세가 확인되고 있지만 아직 지속적인 관리를 소홀히 할 수는 없는 수준”이라며 “정부는 지난주 발표한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계획에 따라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의료 역량을 보다 집중하는 한편, 변이바이러스 대응에도 만전을 기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미접종자에 대한 접종과 60세 이상 및 요양병원·시설 입소자에 대한 4차 접종을 실시하고, 면역저하자에게는 항체치료제 이부실드의 공급을 검토할 방침이다.
김병수 기자 22kbs@hanmail.net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