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사코리아-남재균 기자) 국립중앙과학관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하 JWST)’의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기원하는 팝업 전시를 2월 27일(일)까지 과학기술관 1층 쇼룸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 JWST(James Webb Space Telescope):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차세대 우주망원경으로 달 궤도보다 약 4배 더 먼 곳(150만 km)에 위치하여 우주의 기원, 외계행성 대기 등을 관측할 예정이다.
‘21년 12월 25일 저녁(우리나라 시간), 남아메리카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은 인류가 우주에 발사한 망원경 중 가장 크고 성능이 좋은 망원경이다.
발사 후 최종 목적지인 L2(라그랑주 포인트*)까지 이동 중이며, 현재 모든 전개 작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고, 다음 주에 L2에 도착하여 시험 운영이 완료되는 약 6개월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 Lagrangian point : 위성이나 작은 천체가 상대적으로 큰 두 개의 천체(지구와 태양)의 중력에 의해 그 위치를 지킬 수 있는 안정된 5개의 점
JWST는 5개의 라그랑주 포인트(L1~L5) 중 L2(태양과 지구의 일직선상에 있는 가장 멀리 있는 지점으로 지구로부터 150만 km 거리)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한다.
이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팝업 전시」는 겨울방학 중인 청소년 등 과학관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에게 웹 망원경, 천문학과 우주과학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시는 웹 망원경의 구조와 크기를 가늠할 수 있는 자체 제작 1/6 축소 모형,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탑재 우주발사체의 발사에서부터 웹 망원경의 분리, 이동, 전개 등을 이해할 수 있는 동영상을 준비했다.
또한, 관람객들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와 허블망원경의 주경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 주경 모형, 웹 망원경의 관측장비와 과학미션, 허블우주망원경과의 차이점 등을 이해할 수 있는 인포 그래픽도 전시하였다.
청소년 및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과학 임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오는 1월 28일(금) 10:00~11:00,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질문과 답변(JWST Q&A)’을 유튜브 과학관TV*에서 생중계로 진행한다.
* 과학관TV 유튜브 채널 www.youtube.com/c/과학관TV/channels
특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한인 과학자 미국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 손상모 박사를 화상으로 만나 질문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와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중앙과학관 누리집(www.science.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STScI: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미국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
남재균 기자 news3866@sisakorea.kr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