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사코리아-김병수 기자) 기상청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 시대에 접어들었음을 보여주는 ‘2020년 기후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20년은 1월과 지난 겨울철이 1973년 이래(이하 역대) 가장 기온이 높아 연평균기온(13.2℃)이 역대 다섯 번째로 높았으며, 최근 6년(9위 2017년, 12위 2018년 제외)이 상위 5위 안으로 기록되는 온난화 경향을 이어갔다.
※ 연평균기온(℃): (1위) 2016년 13.6, (2위) 2019년 13.5, (3위) 1998년 13.5, (4위) 2015년 13.4
※ 2020년 전 지구 평균기온(산업화 이전인 1850~1900년 대비 +1.25℃)은 2016년과 같이 가장 따뜻한 해로 발표(ECMWF 산하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 2021. 1. 8.)
역대 가장 긴 장마철과 집중호우로 전국 강수량(693.4㎜)이 2위를 기록하면서, 연 누적 강수량(1591.2㎜)은 여섯 번째로 많았다.
※ 여름철 강수량 (3위) 전국 1012.4㎜(1위 2011년 1053.6㎜, 2위: 1987년 1037.4㎜)
2020년 시기별 주요 기후특성을 보면, 1월과 지난 겨울철(2019.12.~2020.2.) 기온은 역대 가장 높아 기후변화 속에서 이례적으로 가장 따뜻했던 특징을 보였다.
※ 겨울철 기록: (상위 1위) 평균기온 3.1℃, 최고기온 8.3℃, 최저기온-1.4℃, (하위 1위) 한파일수 0.4일
봄철인 3월 기온도 상위 2위를 기록할 만큼 높았다. 그러나 4월은 쌀쌀했던 날이 많아 44위(하위 5위)까지 떨어졌고, 5월에 다시 소폭 상승(14위)해 심하게 널뛴 기온변동을 보였다.
※ 4월 22일 서울에 진눈깨비가 관측되어 1907년 10월 기상관측 이후 4월에 가장 늦은 봄눈 기록
여름철 시작인 6월에는 이른 폭염이 한 달간 지속되면서 평균기온과 폭염일수가 역대 1위를 기록했다.
반면, 7월은 선선했던 날이 많아 6월(22.8℃) 평균기온이 7월(22.7℃)보다 높은 현상이 관측 이래 처음으로 나타났다.
장마철 기간은 중부와 제주에서 각 54일, 49일로 역대 가장 긴 장마철이었으며, 정체전선에 의한 남북으로 폭이 좁은 강한 강수대가 자주 형성되어 집중호우가 잦았다.
※ 장마철 일 최다강수량 (1위) 북강릉 217.0㎜(6.30.), 영월 204.7㎜(8.2.), 영광군 191.6㎜(7.29.)
※ 영향 태풍: △제5호 장미(8.9.~10.) △제8호 바비(8.22.~27.) △제9호 마이삭(8.28.~9.3.) △제10호 하이선(9.1.~7.)
박광석 기상청장은 “2020년은 긴 장마철과 집중호우, 많은 태풍 등 기후변화가 이상 기상으로 빈번히 나타났다”며 “국민 안전보장과 생활편익을 위해 기후위기 시대에 맞는 날씨예측 및 기후서비스 기술개발과 사전정보 제공을 서둘러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김병수 기자 22kbs@hanmail.net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