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일 금융권과 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이 3대 1 비율로 균등 무상감자를 하겠다고 지난 3일 밝힌 이후 2대 주주인 금호석유화학은 물론 소액주주의 불만 목소리도 확대되고 있다. 반발의 주된 이유는 최대 주주인 금호산업과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스스로의 책임을 전가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감자는 재무구조가 악화된 기업의 주식 수를 낮춰 차익을 자본잉여금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3대 1 감자는 아시아나항공 주식 3주가 돌연 1주로 바뀐다는 듯이다. ‘무상’감자인 만큼 증발하는 2주에 대한 보상도 따로 없다.
감자가 이뤄지면, 자본금은 현재 1조1,161억원에서 3,720억원으로 급락하게 된다. 차익인 약 7,441억원은 결손금을 충당하는데 사용될 방침인데, 업계 안팎에선 ‘개미의 돈으로 회사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것 아니냐’는 비난여론이 들끓고 있다.
일례로 주식 관련 커뮤니티에는 산업은행이 구조조정 실패 책임을 소액주주에게 전가한다거나 일반 주주 희생을 통한 금호산업을 살리기라는 취지의 비난이 쇄도하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에도 비슷한 취지의 게시물이 게재됐다. 이날 아시아나항공 주가는 3,220원으로 장을 마치며 3일(3,605원) 대비 10.7%나 급락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합병 협상(M&A)이 무산되던 지난 9월, 시장에선 차등감자 가능성을 높게 봤다. 통상 대주주의 경영책임이 인정될 경우 징벌적 성격의 차등감자를 실행했기 때문이다. 앞서 금호산업이 2010년 기업 재무구조 개선 작업인 워크아웃에 돌입할 때도 채권단은 박삼구 전 회장 등이 보유한 주식을 100대 1로, 채권단과 소액주주 지분을 6대 1로 차등감자한 바 있다.
다만 ‘금호고속에서 금호산업으로, 또 여기서 아시아나항공’으로 이어지는 현재 지배구조를 고려하면, 차등감자 단행 시 금호산업까지 동반부실화 될 것이라는 우려가 이번 균등감자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럼에도 이같은 채권단 등의 결정이 다음달 14일로 예정된 임시 주주총회에서 통과될 지는 예단 할 수 없다.
감자는 상법상 출석 주주 과반수와 총 발행주식의 25% 이상 동의가 요구된다. 아시아나항공 지분을 금호산업(30.77%), 금호석유화학(11.02%) 밖에도 소액주주가 58.21% 보유하고 있는 상황인만큼, 현장에서 소액주주 반대표가 쏠리면 통과가 힘들어질 수 있다.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